알베르 카뮈는 예전부터 관심이 있었던 작가였다. 자발적으로 생긴 관심이기보다는 워낙 많은 소설가나 작가들이 알베르 카뮈를 언급했고 그의 글을 예찬했었기 때문에 얼마나 대단하길래 그러는 걸까?라는 단순한 호기심이었던 것 같다. 알베르 카뮈의 책 <결혼>과 <이방인>을 함께 구매했는데 결혼은 엄청 얇은 두께에도 불구하고 묘사가 너무나 많고 어렵다는 느낌이라 지금은 앞을 읽다가 막힌 상태고 이방인으로 먼저 넘어왔다.
그의 방을 나서, 나는 문을 닫고, 층계참의 어둠 속에 잠시 있었다. 건물은 조용했고, 층계 저 밑 깊은 곳으로부터 어둡고 습한 공기가 올라왔다. 나는 단지 귓전을 울리는 내 맥박소리만 들을 수 있을 뿐이었다. 나는 여전히 꼼짝 않고 서있었다. -54p
알제르 카뮈의 상황묘사는 나를 그 순간으로 데리고 가는 듯 한 느낌이 들정도로 정교하다.
이 이방인의 소설에서 가장 유명한 부분은 소설의 가장 첫 문장 <오늘, 엄마가 죽었다.> (이정서 번역 참고)이다. 이 소설 전체를 꿰뚫고 있는 문장이며 모든 갈등의 시작이라고도 할 수 있는 문장인데 이 부분의 번역이 굉장히 어렵다고 한다. 저 짧은 문장에서 말 쉼표를 넣을지 말지, 엄마라는 표기가 맞는지 어머니라는 표기가 맞는지, 죽었다 또는 돌아가셨다가 맞는 건지. 사소해 보일지 몰라도 단어 하나로 주인공의 심리, 엄마와의 심리적 거리감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한 번역이다. 그리고 기존의 언어를 다른 언어로 1:1로 옮긴다는 건 거의 불가능해 보이고 소설 중간중간에도 나오지만 프랑스인이라서 이해할 수 있는 농담이나 은유 등이 나오는데 그런 것들을 잘못 번역하거나 우리가 충분히 그 뉘앙스를 이해하지 못해서 오는 소설에 대한 오해들도 굉장히 많다고 한다. 이방인도 많은 번역본들이 있는데 번역가들마다 스타일이 다른 것 같다. 이 책을 읽고 최근에 교보문고에 가서 또 다른 버전의 이방인도 힐끗 봤는데 조금 다르다는 느낌을 받았다. 여하튼 이런 번역의 이슈가 있을 때마다 그 나라의 언어를 배우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이를테면 어떤 연속극은, 거피한 다디단 흰 팥이 노르께하게 구워진 겉 써 풀에 살짝 싸인 구리만주 같은 가 자못 우물우물 맛있는가 하면, 어떤 연속극은 찐득하니 꿀 같은 팥을 얇은 찹쌀꺼풀로 싼 찹쌀떡 맛인가 짜닥짜닥 맛있어하고, 어떤 연속극은 백항아리에 담긴 눅진한 수수조청을 여자처럼 토실토실한 집게손가락에 듬뿍 감아올려 빨아먹는 맛인가 쪽쪽 맛있어하고 … - 이별의 김포공항중 <지렁이 울음소리>
위의 문장은 박원서 님의 단편 소설집 <이별의 김포공항> 안에 <지렁이 울음소리>라는 단편소설에 나오는 문장이다. 나는 한국문학은 많이 읽지 않고 외국 문학을 많이 읽는데 외국문학만 읽을 때는 번역에 대한 거부감이나 별다른 생각이 없었다. 아이러니하게도 한국문학을 읽으면서 한 사람을 거쳐 번역된 소설과 작가 의도 그대로 모국어로 전달되는 문학의 차이는 어마어마하겠다는 것을 깨달았다. 위의 박완서 님의 문장을 어떻게 프랑스어로, 영어로, 일본어로 번역할 것 인가. ’거피한, 다디단, 구리만주, 연속극, 짜닥짜닥, 토실토실……‘ 한국인이라서 미묘한 뉘앙스를 이해한 수 있는 단어들이다.
뫼르소라는 캐릭터는 독특하다. 그는 거짓말을 하지 못한다. 아니하지 못한다기보다는 거짓말을 해야 할 필요를 못 느끼기도 하고 더 나아가 거짓말의 존재자체를 모르는 것 같다. 그는 진실해 보인다. 하지만 살인을 한다. 하지만 그의 살인은 다른 사람들의 살인과 달라 보인다. 법정에서 변론을 할 땐 그가 무슨 말이라도 하기를 배심원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어떤 말이라도 변명이라도 하기를 우리는 바랬다. 하지만 위에서 말했듯이 그의 거짓말의 존재자체를 모르는 것 같다. 그의 입장에선 왜 자신이 자신의 행동에 이유를 설명해야 하는지 모른다. 아니 이유 자체를 모른다.
이 책의 해설이나 평론가들의 설명을 보니 뫼르소를 ‘새로운 인간상의 제시‘ ’ 실존주의를 반영하는 캐릭터‘ 등으로 설명하는데 나에게는 어렵게 느껴진다. 그보다는 알베르 카뮈에게는 소설을 통해 정말 이해할 수 없는 캐릭터지만 독자를 이해시키는 힘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그의 행동 속에서 나의 숨겨진 모습을 찾아내게 한다는 것이다.
다 읽고도 사실 이 책을 다 이해한 건지 의구심이 들었다. 재밌게 봤지만 내가 아직 부족해서 알베르 카뮈가 말하는 것을 반의 반도 이해하지 못한 것 같다는 찝찝함이랄까.
워낙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책이고 문학적 완성도를 가지고 있는 책이기 때문에 물론 한 번에 이해되는 건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수많은 고전 소설이 그렇듯 시간이 지나서 다시 보면 새롭게 보이고 그땐 더 많은 것을 이해할지도 모르고 또 다른 뫼르소의 면에 공감할지도 모른다.
무라카미 하루키 라는 장르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 후기 (0) | 2023.10.14 |
---|---|
입문자를 위한 왕초보 경제 책 <펠릭스는 돈을 사랑해> (1) | 2023.09.02 |
리더 반성문 (정영학) -지금 잘 하고 있는건지 혼란스러운 리더들에게 (0) | 2023.04.25 |
사업을 한다는 것 : 맥도날드를 세계 최고로 만든 경영자 레이크록의 이야기 (캘리최, 손정의, 야나이 다다시 추천 책) (2) | 2023.02.19 |
웰씽킹-캘리최(Wealthinking) 소녀공에서 6000억 자산을 가진 부자가 되기까지 (2) | 2023.02.12 |
댓글 영역